[우분투 11.04] rpm 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하여 설치하기

2011. 5. 22. 16:09
필요한 파일이 있어 다운받았는데 확장자가 rpm이다. 우분투에서는 설치파일로 deb 파일을 쓰는데 rpm이라니... deb 버전을 찾아봐도 rpm만 지원하고 있어서 rpm 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구글링을 통하여 rpm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해주는 alien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alien을 검색하여 설치한다.

 터미널에서 자신이 deb 파일로 변환하려는 rpm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다. 
sudo alien -c RPM파일명 을 입력하고 몇초 기다리면 ~.deb generated!!!
 
ls 명령어로 deb 파일이 잘 생성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박상근 리눅스

[우분투 11.04] .ICEauthority 파일 에러 해결

2011. 5. 16. 06:28
웹서핑을 하던 중 갑자기 컴퓨터가 다운이 되버렸다. 마우스를 움직여도, 키보드를 두들겨도 아무 반응이 없어서 결국 강제로 재부팅을 하고 로그인을 하자 데스크탑 환경이 뜨기도 전에 에러메시지가 뜬다. 컴퓨터 전공자로서 가장 싫어하는 것 중 하나가 이런 에러메시지를 보는 것인데...

Could not update ICEauthority file /home/pskalyber/.ICEauthority

일단 [닫기] 버튼을 눌러 이 메시지를 무시하자 정상적으로 데스크탑 환경이 보여지고 아무렇지 않게 모든 것이 잘 동작 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매번 우분투로 부팅할 때 마다 이 메시지를 볼 수는 없기에 구글링으로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로 했다.

에러 메시지를 검색하자 수많은 해결 방법이 나왔다. 주로 권한 수정에 관한 내용이었는데 댓글로 수 많은 사람들이 제시된 해결방법으로는 되지 않으니 다른 해결 방법들을 찾아달라는 말이 많았다. 나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일 알려진 방법을 시도해보았지만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 그러다 조금 다른 방법을 찾아서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시도하여 아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었다.


터미널 창을 띄우고(단축키 : ALT+CTRL+T) ls -l /home/계정이름/.ICEauthority 입력하면 이 파일에 대한 정보가 보여진다. 이 파일을 지워버리고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이 파일을 생성할 것이다라는 가정하에 시도하는 방법이다.

혹시 문제가 생길지 모르니 문제가 되는 .ICEauthority파일을 지워버리기 보다는 sudo mv ~/.ICEauthority ~/.ICEauthority.backup 을 입력하여 
.ICEauthority파일의 이름을 .ICEauthority.backup으로 바꿔버린다.

그리고 chown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한다. 이를 위해 sudo chown 계정이름:계정이름 /home/계정이름/ 을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reboot 명령어로 컴퓨터 재부팅하고 나면 에러메시지 없이 정상적으로 부팅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chown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한다. 이를 위해 sudo chown 계정이름:계정이름 /home/계정이름/ 을 입력한다. 

재부팅 후에
터미널에서 ls -l /home/계정이름/.ICEauthority 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 파일이 생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전에 이름을 바꿔 등록한 .ICEauthority.backup 파일도 잘 보관되어있다. 이 백업파일은 더 이상 필요없으니 삭제해도 좋다.

도움 받은 곳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desktop-74/iceauthority-error-in-ubuntu-8-10-a-681312/

박상근 리눅스

[쿠분투 11.04] 쿠분투 한글 설정 하기

2011. 5. 14. 17:35
한번도 KDE기반의 쿠분투(Kubuntu)를 써 본 적은 없지만 인터페이스가 GNOME에 비해 화려하다는 말을 여러번 들어본 적이 있다. 그래서 11.04 버전이 새로 나온 김에 가상머신에 쿠분투도 한번 설치해보기로 했다. 분명 설치할 때 한국어를 선택하고 설치를 했는데 다 설치를 하고 보니 죄다 영어로 되어있다. 문득 쿠분투는 우분투에 비해 아직 한글화가 덜 되었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났다. 하지만 부분 한글화 수준이 아니라 죄다 영어다. 아마도 한글언어팩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 같다. 예전 미국 여행때 씨애틀에서 쿠분투를 쓰는 어느 외국인의 네트워크 설정을 봐준 이후로 두번째 쿠분투와의 사투다.

좌측 하단의 시작메뉴 버튼을 누르고 System Settings 선택하면 위와 같은 창을 볼 수 있다.
Software Management 아이콘을 클릭하도록 하자.

좌측의 Get and Remove Software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language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중 language-pack-kde-kolanguage-pack-kde-ko-base를 설치한다.
이 때 language-pack-kolanguage-pack-ko-base 이 자동 설치 될 것이다.
(확인 후 자동으로 설치 되지 않았다면 수동으로 설치하도록 하자)

 Software Management에서 빠져나와 System Settings의 Locale를 실행하여
방금 설치한 한글 언어팩을 적용하였다.

좌측의 System Language메뉴를 선택하고 Korean을 선택 후 Apply버튼을 눌러 설치한다.
 

Country/Region & Langauge메뉴의 Country탭에서 국가를 South Korea로 설정하자.

Country탭 바로 우측의 Language탭을 선택하여 Korean을 우측으로 옮기면
어느샌가 한국어가 적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KDE가 듣던대로 조금 더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인터페이스의 느낌이 들었다.  딱히 무거운 느낌은 없는 듯(제대로 써보지도 않았으니 ㅋㅋㅋ). 하지만 이미 우분투를 메인화시켜놔서 다시 쿠분투로 넘어가기에는 귀찮은 면이 있으므로 그냥 KDE를 맛 보았다는 것에 만족해야겠다. GNOME에 이어 KDE를 아주 살짝 맛보고 나니 다른 여러 데스크탑 환경을 맛보고 싶어진다. 루분투, 주분투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던데 국내 미러에는 찾을 수가 없고, 국외 서버를 통해 다운받자니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것 같아 귀찮다.

박상근 리눅스

[우분투 11.04] Samba 를 이용한 공유폴더 설정

2011. 5. 11. 07:05
현재 노트북에서는 우분투를 쓰고 있고 데스크탑에서는 윈도우7을 쓰고 있어서, 상호간에 파일을 옮길 때 외장하드로 번거롭게 옮기기 보다는 공유폴더를 설정해서 쉽게 파일을 주고 받고 싶었다. 그래서 알아낸 방법이 바로 Samba를 이용한 방법이다.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Samba를 검색하고 목록에서 Samba를 선택, 설치하자.

 설치한 Samba를 실행하고 좌측 상단 메뉴의 [파일] - [공유 추가] 클릭

 리눅스에서 공유 폴더로 설정할 폴더 및 공유명과 권한을 설정한다.

 [접근] 탭에서 접근 사용자를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

 정상적으로 공유 폴더가 설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윈도우에서 Samba를 이용하여 설정한 리눅스 공유폴더에 위와 같이 접근하였다.

 
 

박상근 리눅스

[우분투 11.04] 업데이트 및 소프트웨어 설치를 위한 저장소 변경하기

2011. 5. 10. 03:49
몇몇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있어서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검색 후 설치버튼을 눌렀는데 죄다 패키지 다운로드가 안되는 일이 일어났다. 순간 인터넷이 끊겼는지 알았는데 웹서핑은 잘 된다. 아마도 저장소에 문제가 생긴듯. 예전엔 그냥 터미널에서 명령어로만 저장소를 바꿨는데 이번에는 손쉽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저장소를 변경해보기로 했다.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를 실행하여 상위 메뉴의 [설정] - [저장소]를 선택한다.
 

다운로드 위치가 기본 설정으로 대한민국 서버로 되어있을 것이다.
 [
기타]를 클릭하여 바꾸도록 하자.

목록에서 원하는 저장소를 하나 고르도록 하자.
방금 전에는 ftp.daum.net이 잘 동작하지 않아서 mirror.khlug.org 를 선택하였다.


혹시 수동으로 저장소 주소를 추가하고 싶다면
 [
기타 소프트웨어] 탭에서 [추가] 버튼을 눌러 추가하도록 하자.

만약 이렇게 저장소를 변경 한 후, 저장소 변경이 적용이 되어있지 않다면
위와 같이 터미널에서 sudo apt-get update 를 입력하여 저장소 변경 업데이트를 하자.

이렇게 저장소를 변경한 후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나 업데이트 관리자를 실행하여 새로 변경한 저장소가 잘 작동하는지 소프트웨어 검색을 해보면 알 수 있다. 카이스트나 다음의 저장소에 가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니, 이 때에는 위와 같이 저장소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박상근 리눅스

[Ubuntu 10.04] UNetBootin을 이용한, USB 메모리로 우분투 설치하기

2010. 5. 22. 23:02

제작년에 유닉스 수업 때문에 우분투 8.04를 잠시 사용했었다가 이번에 10.04가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다. 진행중인 프로젝트 때문에 시간이 안나서 데탑용으로 다운만 받아놨다가 프로젝트가 끝나자마자 바로 설치를 해보려는데 … 내 노트북은 ODD가 없다. 그래서 CD-ROM 부팅 대신에 USB로 부팅해서 우분투를 설치해보기로 했다.

 

[ UNetBootin 다운받기 ]

 

 

 

 

http://unetbootin.sourceforge.net/ 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뜬다. Download (for Windows)를 클릭하여 UNetBootin 프로그램을 다운받자.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다.

부팅 USB로 사용할 USB메모리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뜬다. 맨 위의 Distribution 은 설치를 원하는 OS와 해당 OS의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는 Ubuntu와 10.04 버전을 선택했다.

DisImage에서는 미리 USB메모리에 넣어둔 Ubuntu 10.04의 iso 파일 경로를 지정한다. 그리고 맨 하단의 메뉴에서 Type은 USB Drive, Drive는 부팅USB로 사용하려는 USB 메모리에 현재 할당된 드라이브명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I:W 를 지정하였다. 그리고 OK를 누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과정을 거리며 부팅 USB메모리가 만들어진다.

 

 

 

 

 

 

 

모든 과정이 끝나면 지금 재부팅을 할 것인지 묻는다. 지금 바로 USB로 우분투를 설치하고 싶다면 Reboot Now를 클릭한다. 단, 재부팅시 BIOS모드에서 USB메모리 부팅을 하드디스크 부팅보다 먼저 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제 USB메모리에 담긴 Ubuntu 10.04 Live로 컴퓨터가 부팅이 될 것이다.

우분투에 기본 내장된 캡쳐 프로그램으로 Live 부팅화면을 한번 찍어봤다.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탕화면의 Install Ubuntu 10.04 LTS를 실행하자.

박상근 리눅스

내 서버에 제로보드 설치하기

2008. 11. 24. 05:59

고등학생때 1년짜리 싸구려 웹호스팅을 얻어서 제로보드를 설치해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남아있다.
아니, 대학 1학년때였던가...?
여하튼 대략 5년전 일인지라 가물가물한데
이번에는 내가 직접 구축한 리눅스서버에 제로보드를 설치를 해본다.

내 서버에는 미리 APM을 설치해뒀다. ( apache2, php5, mysql )

[제로보드] 홈페이지에 가면 뭐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설명이 잘되어있다.
초보자를 위한 동영상 설명까지 있을정도로.

일단 제로보드 최신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메뉴얼을 조금씩 참고하면서
내 서버의 user 계정 ( localhost/~user ) 에 제로보드를 올렸는데
제로보드를 처음 실행하면 나오는 설정화면이 나오질 않는다.

도대체 왜?

혹시나해서 user계정이 아닌 localhost에 제로보드를 올려보니 설정화면이 잘만 나오는데
사용자계정에 올려서 접속하면 이건 대체 뭐때문인지 Interval Server Error 페이지가 뜬다.

이유인 즉,
apache2 를 설치할때 사용자계정마다 public_html 을 두어 따로 웹페이지를 만들려면
뭔가 설정을 해야 했듯이
이번에는 apache2 의 mod-rewirte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한단다.

$sudo gedit /etc/apache2/sites-enabled/000-default

000-default 파일의

<Directory "/var/www">
...
...
<Directory>

부분을 찾아서 아래처럼 내용을 고친다.
 
<Directory "/var/www">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FileInfo
</Directory>

그리고 mod_rewirte 를 설치하고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2enmod rewrite
$sudo /etc/init.d/apache2 force-reload

이제 user계정에 제로보드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http://localhost/~user/zbxe 에 처음 접속을 하면 제로보드 설정화면이 뜬다.

이제부터 다시 제로보드 홈페이지의 메뉴얼을 참고하면서 설정을 완료하면 끝!

박상근 리눅스

메일서버 구축하기 - postfix

2008. 11. 19. 04:48

 

SSH, FTP 등의 구축은 손쉽게 해왔는데 메일서버는 시간 날 때마다 조금씩 손봐왔음에도 불구하고...
실패였다. 왜 안되지?!
그냥 뭐 내 서버 내의 계정들끼리만 주거니 받거니...

내가 하고 있는게 메일서버 구축이 맞는건지도 제대로 모른채
무작정 검색하고 따라하고 검색하고 따라하기의 반복.

새벽 3시경. 드디어 성공했다.
아, 바로 이거 말하는 거였구나.
으이구.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이라더니,
뭔지도 모르고 무작정 덤벼든게 잘못이었다. 이렇게 쉬운걸 어휴...

결정적으로 메일서버를 운영하려면 도메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걸 알게되고서야 부랴부랴 메일서버를 지원하는 무료계정을 찾아 만들고서
다시 우분투에 메일서버를 구축하였다.

메일서버를 지원하는 무료계정은 www.dnip.net 에서 회워가입 후 받을 수 있다.
나는 pskalyber.dnip.net 으로 계정을 받았으며, 아래 설명에도 내 계정을 사용하여 예를 들었다.


이제 우분투에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에볼루션메일을 이용하여 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해보자.
에볼루션메일을 실행 후, 편집-기본 설정에서 [추가]를 눌러서 새 메일 계정을 추가한다
pop은 pskalyber.dnip.net 으로 설정했고 smtp는 pskalyber.dnip.net 으로 하니까 메일 송신이 안되길래
smtp대신에 sendmail을 하니까 메일 송신이 되었다. (왜 그런지는 나도 잘 ...-_-)
여하튼 일단 잘 보내지니까 왜 그런지는 나중에 생각해볼 일이고.


메일 송수신이 잘 되는 것을 확인!!!
OK!!!

복잡했다. 특히나 postfix설정 부분이 엄청 복잡했다.
저걸 다 저렇게 설정을 해야되는 것 같지는 않은데. 분명 쓸떼없는 설정 부분도 있겠지만
내가 일일이 그런 부분을 찾아볼 시간은 없었기 때문에 그냥 시키는대로 다 해버렸다.

투자한 시간은 많은데, 아무리 해도 안되길래 엄청 짜증났었지만
그래도 성공하고 보니 그만큼 보람이 있다.

아 좋아!

<참고 사이트>
https://help.ubuntu.com/community/PostfixBasicSetupHowto
https://help.ubuntu.com/community/Postfix



박상근 리눅스

FTP 서버 운영 하기 - vsftpd

2008. 11. 11. 03:17
FTP 서버를 돌리기 위해 vsftpd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로 했다.
뭐 이것 말고도 다른 여러 FTP 서버 프로그램들이 있었지만 그냥 요즘 이게 많이 쓰이는것 같길래 ㅋ

vsftpd 설치 : sudo apt-get install vsftpd 
vsftpd 설정 : sudo gedit /etc/vsftpd.conf

<주요 설정 변경 내용 : YES, NO 선택후 해당 줄의 주석(#) 제거>

# anonymous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default = YES)
anonymous_enable=NO
# 로컬 계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default = NO)
local_enable=YES
# write 명령어 허용 여부 (defualt = NO)
write_enable=YES
# 로컬 계정 사용자용 umask (default = 077)
local_umask=022
# FTP 서버 접속할 때 환영 메시지 (default = vsFTPd 버전번호)
ftpd_banner=Welcome to blah FTP servic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설정 (default=NO)
chroot_local_user=YES

설정 변경 후 vsftpd 재시작 : sudo /etc/init.d/vsftpd restart

------------------------------------------------------------------------------------------------------------------

vsftpd.conf 파일의 내용 중에

# Make sure PORT transfer connections originate from port 20 (ftp-data).
connect_from_port_20=YES

라는 부분이 있어서 포트번호가 2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20 을 21 로 바꿔버렸더니 ftp접속이 안되었다.
이것때문에 /etc/services 파일도 수정하고, 공유기 ftp설정도 바꾸고, 포트포워딩이랑 DMZ설정도 바꿔보고
생 난리를 치면서 이렇게 새벽 3시가 넘어까지 잠을 못자고 있는걸 생각하면 울화가 치민다 -_-

virtualBox로 WindowsXP에서 알FTP로 접속을 해보니 접속은 잘 되나
한글로 된 디렉토리/파일 이름이 깨져서 나왔다. 알FTP 에서는 어쩔 수 없고
다른 FTP접속 프로그램인 FileZilla 를 설치/실행하고 나서
메뉴의 파일 - 사이트 관리자에서 FTP서버를 추가한 후 문자셋 설정탭에서 UTF-8로 강제설정 을 선택하면
FTP서버에 접속해도 한글이 깨지지 않고 잘 나온다.

박상근 리눅스

apache2, 계정별 웹 디렉토리 설정

2008. 11. 5. 21:27
/etc/apache2/mods-available/ 에 있는 userdir.conf, userdir.load 두 파일을
/etc/apache2/mods-enabled/ 에 복사해 넣는다.

그리고 apache2를 재부팅한다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각 계정은 이제 홈디렉토리에 public_html 폴더를 만들고,
이 안에 index.html 파일을 만들면 http://IP/~계정ID로 웹페이지를 볼 수 있다.

박상근 리눅스

APM 설치하기 + apache2 한글인코딩

2008. 11. 3. 02:40
APM = APACHE + PHP + MYSQL

웹서버 설정을 해보자!

Apache 설치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MYSQL 인증 :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auth-mysql
MYSQL: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PHP5 : $sudo apt-get install php5-common php5 libapache2-mod-php5
PHP - MySQL 연동 :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아파치 웹서버를 재시작 :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MYSQL 재시작 : $sudo /etc/init.d/mysql restart

아파치 기본 설정 파일 위치 : /etc/apache2/apache2.conf
MYSQL 기본 설정 파일 위치 : /etc/mysql/my.cnf

PS..
apache2 를 설치하고서 /var/www 안에 index.html 파일을 만들어서
http://localhost 에 확인을 해보니 한글이 다 깨져나왔다.
이를 바꾸기 위해서~

$sudo /etc/apache2/apache2.conf
이렇게 설정 파일을 연 후 맨 아랫줄에
AddDefaultCharSet off
를 추가해준다.

박상근 리눅스

VirtualBox2.0 USB 인식하기

2008. 10. 31. 01:43

이번에 우분투에서 WInXP를 써볼까하여 VMware와 VirtualBox 둘 중 고민하다가
예전에 한번 VirtualBox를 써본 기억이 있어서 그냥 한번 써본 익숙함을 쫓아

VirtualBox를 선택.

이것저것 하드디스크용량이나 램용량 등의 옵션지정이 끝나고
설정에서 "USB 하위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라는 에러메시지창이 떠버렸다!

구글링 결과

$ sudo gedit /etc/init.d/mountdevsubfs.sh 를 수행해서

아래 부분을 찾는다.
    # Magic to make /proc/bus/usb work
    #
    #mkdir -p /dev/bus/usb/.usbfs
    #domount usbfs "" /dev/bus/usb/.usbfs -obusmode=0700,devmode=0600,listmode=0644
    #ln -s .usbfs/devices /dev/bus/usb/devices
    #mount --rbind /dev/bus/usb /proc/bus/usb

여기서 아래에서 처럼, 네 줄의 주석 표시 #을 없애버리면 해결 완료!!
    # Magic to make /proc/bus/usb work
    #
    mkdir -p /dev/bus/usb/.usbfs
    domount usbfs "" /dev/bus/usb/.usbfs -obusmode=0700,devmode=0600,listmode=0644
    ln -s .usbfs/devices /dev/bus/usb/devices
    mount --rbind /dev/bus/usb /proc/bus/usb

 

 

 

박상근 리눅스

우분투 패널 복구하기

2008. 10. 26. 08:46
패널 좀 내 입맛에 좀 맞춰보려고 이리저리 손보다가
실수로 패널을 통째로 날려버렸다.

뭐 다시 빈패널 만들고 추가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했느데
갑자기 처음부터 만들려니

처음 기본 설정이 기억이 안난다.
파폭이 있었고, 에볼루션메일이랑... 그리고 뭐 네트워크아이콘.
또 시계도 있어야겠고... 아, 젠장할 ㅠ_ㅠ

혹시나 해서 패널 복구를 검색해서 찾아보니
터미널에서 단 세줄의 명령으로 복구하는 방법이 나와있다

gconftool-2 --shutdown
rm -rf ~/.gconf/apps/panel
pkill gnome-panel

바로 복구가 되는구나.

이제 맘놓고 내맘대로 바꿔봐야지 ㅋㅋㅋ


박상근 리눅스

네이트온 한글입력

2008. 10. 26. 06:21
리눅스용 네이트온을 설치한게 몇달 전인것같다.
그런데 최근에 알았다. 내 네이트온에서 한글입력이 안된다는 것을 ... 후덜덜

scim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아예 한글이 안된다
내 데스크탑에서는 한글입력 잘되는데 왜 여기선 난리인지.

갑자기 친구에게서 쪽지가왔다.
"공부하나"

...푸하하. 그럴리가
그냥 삽질하고있는거지.
"I cant write KOR. i'm on LINUX NATEO. shit"

친절한 친구님께서 나와의 대화를 위해
친절이 리눅스 네이트온 한글입력 해결에 관한
수많은 URL들을 날려주셨다.

scim-qtimm 패키지를 설치하면 바로 해결된다.

sudo apt-get install scim-qtimm

박상근 리눅스

scim 미작동 해결

2008. 10. 26. 05:41
노트북에서 scim의 한영키, 한자키 적용때문에 헤매던게 엊그제.
분명 이 문제를 고치긴 했는데
이제는 어떤 때는 한영키로 한영 전환이 되고
어떤 때는 한영키로 한영 전환이 되질 않는 현상이 남아있었다.

예전에 데스크탑에 우분투 8.04 설치했을땐 이렇지 않았는데.
새로 밀기에는 시간이 아깝고, 어떻게는 해결보고싶어서 구글링~ 구글링~

찾았다!

/etc/X11/xorg.conf 파일을 열어서 초반부에 Section "InputDevice" 을 보면
Option "XkbLayout" "us" 로 된 부분이 있다. 이 us를 kr로 바꿔주자.
그럼 아주 간단히 해결~

우왕ㅋ굳ㅋ

박상근 리눅스

노트북 우분투에서 한영키 적용하기

2008. 10. 22. 19:36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해놓고 방치해두다가
이번에 유닉스 수업의 리눅스 활용과제때문에 간만에 부팅을 했다.

scim으로 한영키, 한자키 설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키가 먹히지 않아서 마우스로 직접 scim을 클릭해가면서 한영 전환을 해야했는데

키보드 설정도 바꿔보고, 키배치도 바꿔보고
온갖 삽질을 해도 안되다가

구글에 "노트북 우분투 한영키" 를 검색했더니
맨 처음 나오는 블로그에서 바로 해결법을 찾았다 -_-

터미널에서 xev로 내 한영키와 한자키의 키코드값을 알아내고.
내 계정의 폴더 (home/pskalyber) 안에다가
.Xmodmap 파일을 만들고 아래내용을 입력/저장.

keycode 113 = Hangul
keycode 109 = Hangul_Hanja

이제 우분투를 재부팅하면 .Xmodmap 파일을 읽어드릴 것인지 묻는데
읽어들임을 확인하고 나니 한영키, 한자키가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하구나

아하하하~


박상근 리눅스